분류 전체보기 12

더 편해진 Claude Code Templates

Super Claude 뒤를 이어서 굉장한 녀석이 나타났다. 이름하야 Claude Code Templates 출시한지 얼마 안된 agent기능을 포함해서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명령어, MCP, 코드 템플릿까지 웬만한건 다 가지고 있다. 그중 하나 장점을 뽑으라면, 쉬운 설치도 있겠지만 npx claude-code-templates@latest --health-check 라는 명령어다. 프로젝트 홈에서 실행시키면 프로젝트의 통계등을 보여주는 것도 있겠지만, 더 상위 폴더인 계정에서 실행시키면 터미널 상에서 시스템상태나 Agent, MCP가 제대로 셋팅 됐는지도 확인한다. 로컬서버로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여준다. 그리고... 여기에서 Analytics Dashboad에서 엔터를 치면, 이런 화면을 ..

AI, AI, AI 2025.08.09

개인정보처리방침에 관한 초 미세팁

아차 하고 까먹었다가 본인처럼 앱 프로덕션 심사 통과를 실패 할 수 있는 정말 초 미세팁이다. 간단히 얘기하자면 개인정보처리방침에 절대 빠져서는 안되는 내용인데, 깜빡하거나 민감한 내용이라 적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봐 적어둔다. 이름개발자 계정과 동일한 이름이 표시되야 한다. 실명이겠죠?앱 이름앱 이름이 포함되어야 한다. 앱 이름이 문서에 없으면 구글은 심사 거부 할 것이다.이메일문의처를 남겨야 한다. 남기지 않으면..... (으드득)웬만하면 AI Agent에서 생성하는게 낫다.Chat-GPT로도 손쉽게 만들 수 있고 다른 AI모델들도 문서 작업은 잘 해주니, 상황을 잘 설명하고결과물을 살짝 손 봐주는게 좋다.OpenAPI나 공개정보라고 하더라도 어디서 가져왔는지 출처와 면책을 표시해야 한다.개인정보처리..

Flutter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 관심을....

전에 개발환경(IDE)와 AI의 성능, 확장성, 연동에 관해 쓴글을 통해, 소인은 MS VScode와 Claude를 선택했다고 언급한바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IDE를 VSCode만 쓰는것은 아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제공 하는 기능 중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 있으니 그게 바로 에뮬레이터다. 에뮬레이터 마다 안드로이드 API버전을 설정해야하고 (보통 24, Google Play Store버전), 여러분들이 만든 512*512짜리 앱로고를 모바일 기기에서 간단하게 변환시켜 적용시켜주는 기능들이 있기 때문이다. 저 Virtual Device가 에뮬레이터를 뜻한다.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기능이다. 윈도우용 JDK도 다운로드 해야 할텐데 아마 무슨 버전을 깔아야 할지 고민을 할 수도 있을꺼다. 보통 ..

AI, AI, AI 2025.08.04

구글 앱 등록, 생각보다 쉽지 않다

앱을 하나 뚝딱 만들었다고 끝이 아니다. 진짜 시작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하는 순간부터다. 처음엔 "설마~ 그냥 앱만 올리면 되겠지?" 싶겠지만, 웬걸... 생각보다 준비할 것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1. 인증과 앱 등록, 정보 입력의 늪에 빠져보자. 저 메뉴들을 하나하나 일일이 클릭하여 스텝바이스텝(우...비....베이베....) 구글이 원하는 정보, 인증, 심사 절차를 거쳐야 한다. 너무 많으니 자세한 내용은 구글에게 떠넘긴다 (필독, 정독, 엄근진 : https://support.google.com/googleplay/android-developer/answer/9842756) 가장 귀찮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분만 손에 꼽자면, 아이콘(512x512) 제작, 기기별 스크린 샷(최소 각각 ..

AI 선택. 그리고 요금제의 함정. #3

AI 서비스 에이전트들이 말하는 토큰은 무엇일까? 보통 의미를 뜻하는 '무엇인가'의 갯수를 뜻하는데 그것이 단어일 수도, 물음표나 마침표일수도 쉼표일 수도 있다. 그럼 의미를 뜻하는 '무엇인가'는 무엇일까? AI가 추론이나 이해, 계산을 하기 위한 의미가 있는 최소단위라고들 한다. 물론 무슨 AI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말이다. 그래서 토큰을 얼마나 제공하는지 내가 주문한 AI포장을 뜯어보지 않는 이상은 알 수가 없다.(대부분 철제금고라 안뜯긴다) 대충 책 한권 분량, 신문 한부 분량 이런식이다. 입력토큰이 크다해서 프롬프트를 가득채워 넣어도, 어차피 100% 정답을 내놓는것이 아닌이상(요즘 오류률이 최상급 AI의 경우 30%~40%내외 였던걸로 기억이 난다) 출력토큰이 엄청나게 크거나 무제한이 아닌 이상..

AI, AI, AI 2025.07.30

AI 선택. 그리고 요금제의 함정. #2

쓴만큼 내는 사용제... 종량제. 내가 제공하는 리소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지 충분히 고려해야 하는 정액제.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VS Code에서 정말 '정확하게' 사용량이나 사용료를 계산해 주는 확장팩은 그나마 Cline이 애써주고 있지만 믿기가 참 어렵다. 게다가 종량제형태의 API호출은 실시간으로 가격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기에 코딩삼매경에 빠져있는 개발자를 괜시리 불안하게 만든다. 실제로 하루 열심히 AI 채찍질 해가며, 어르고 달래서 리팩토링 했더니 그날 요금만 5만원 가까이 나왔다. (제미나이... ㅂㄷㅂㄷ...) 그렇다고 중,대규모의 프로젝트라면 덜 억울할텐데 모든 파일을 합쳐서 고작 2천줄도 될까 말까한 코드였다. 혹시 모른다.... 아직도 API 사용료 ..

AI, AI, AI 2025.07.24

AI 선택. 그리고 요금제의 함정. #1

소인도 이제 막 바이브 코딩에 빠져 허우적 거리고 있는 상황이라 AI선택에 애를 먹고 있다. 오만가지 AI가 난무하는 무협같은 세상에서 어느 녀석의 무공이 가장 쓸모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정보를 검색해보았다. 먼저, 내가 작업하는건 node.js를 백엔드로 React-native로 타입스크립트 형태의 크로스 플랫폼 모바일 앱, 웹을 개발하는 일이 주된 일이다. 이 목적에 맞게 어떤 AI가 잘 단련한 심공을 가지고 있는지 찾아볼 필요가 있었다. 원래는 영어로 표시되어 있는 페이지 인데 한국어 번역으로 변경했다. 시간은 금이다. 그록4와 제미니 2.5 pro, Deepseek R1의 독보적인 수행 능력이 눈에 띈다. 역시나 그록과 o4, Gemini, Claude의 약진이 눈에 띈다. (이 그래프는..

AI, AI, AI 2025.07.21

개발자로서 잘 먹고 잘 살려면?

잠시 쉬어가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 살펴보자. 최악의 망테크를 타서 묘생보다 못한 말년 늙인의 고언이니 기억해 주면 좋겠다. 1. 개발자도 '사회'생활하는 직장인이다. Nerd 같은 삶은 살지 말자. 내 직장생활은 항상 피곤에 쩔었고, 몸을 갈아넣는 프로젝트들이 많았다. 외모에 신경쓸 시간도 없거니와 따로 인간관계를 돈독하게 할 만한 사치는 나에겐 없었다. 돌아보면 꾀죄죄한 옷차림에 우중충한 표정으로 남들과의 거리를 둔것이 항상 마음에 쓰인다. 보시는 분들께선 아무리 바빠도 (직장을 잘 선택해야겠지만...) 외모도 조금(?)은 신경 쓰고, 주변 사람들 잘 챙기면 좋겠다. 대화를 잘 이어나가는 스킬까지 익혀두면 금상첨화다. 2. 실력이 있다면 언제든 기회는 찾아온다. 하지만 이게 기회였던 것인지는 지..

일상 2025.07.21

VS Code, Android Studio, IntelliJ, Xcode, Eclipse... 제일 무난한 개발 툴은 뭘까? 2편

왜 Visual Studio Code를 선택했는가?지난 1편에서 다양한 개발 언어와 DB, IDE의 트렌드를 살펴봤다. 그중에서도 내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개발 툴은 바로 Visual Studio Code(이하 VS Code)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1. 가볍고 빠른 실행 속도VS Code는 설치 용량이 작고, 실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무거운 IDE에 비해 리소스 소모가 적어 저사양 PC에서도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강력한 확장성수많은 확장팩(Extension)들이 존재해, 언어 지원부터 테마, 디버깅, 버전 관리, 협업 도구까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다. 3. 다양한 언어와 플랫폼 지원웹, 모바일, 서버, 데이터 분석 등 거의 모든 개발 환경을 지원한다.특정 언어에 종속되지 않..

도구들 2025.07.21

VS Code, Android Stuido, IntelliJ, Xcode, Eclipse.... 제일 무난한 개발 툴은 뭘까? 1편

통합된 개발 환경 (IDE)는 거의 모든 개발자들이 모니터에서 항상 보는 도구다. 직관적이고, 가볍고, 확장성과 대중성이 높으며, 오류(전엔 작업하다 블루스크린 뜨면 뒷통수 잡았었다...) 없이, 장시간 동안 편안하게 작업 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확장성과 대중성이다. 어디서든 쉽게 정보를 얻을 수 있어야 하고 사용방법을 익히기 쉬우며, plug-in, add-on, extension같은 확장 모듈을 통해 기능을 쉽게 추가 가능하면 더욱 더 좋다. 또 대중성이 있다는건 누군가가 내가 필요한 확장 기능을 만들어 둔 확률이 높다는 것을 뜻한다. 이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이 개발되며, 요즘 IDE들은 Code에서부터 Test까지 제공하는 것이 보통이다. 릴리즈 버전..

도구들 2025.07.21